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주당순이익을 뜻하는 EPS란 어떤 의미가 있을까?

꼭 필요한 경제소식

by 달콤키위 2023. 5. 24. 10:00

본문

반응형

EPS란 Earning Per Share의 약자로서 주식에서 주당순이익

위와 같은 의미를 하고 있습니다.

기업의 순이익을 총 주식수로 나눈 값을 의미하고 있습니다.

EPS 계산 방법

EPS = 순이익 / 발행주식의 수

예를 들어서 기업의 순이익이 10억이고 발행 주식 수가 100만 개라 고하면 EPS는 1000원이 됩니다.

EPS가 높은 기업은 수익성이 좋다는 의미로 투자 가치가 높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기업의 수익성이 좋기 때문에 주주에게 배당을 할 수 있는 여력도 많으며, 재무 상태도 양호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하지만 주식을 투자하는 데 있어서 무조건 EPS가 높다고만 선택을 하면 안 됩니다.

여러 가지 주의해야 될 점이 있어서 그 부분도 확인을 해봐야 합니다.

먼저 EPS가 높은 기업에 투자할 때 주의해야 될 점을 말씀드리겠습니다.

  • 첫 번째, 비정상적으로 높은 EPS는 일시적인 현상일 수 있습니다.

기업이 일시적인 요인으로 높은 이익을 냈을 수 있다는 것으로 특정 프로젝트로 인해 단기적인 높은 이익을 냈거나, 코로나와 같은 시즌 이슈로 반짝 수익을 낸 경우입니다.

이러한 경우 프로젝트가 끝났거나, 시즌 이슈가 해결이 되면 이익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 두 번째, 동종 업계의 EPS 확인을 해봐야 합니다.

특정 산업군의 EPS가 전체적으로 높은데 해당 기업은 다른 기업에 비해 낮은 수준일 수 있습니다.

동종 업계 순위를 확인해 보는 것이 그 기업의 미래가 어떤지를 알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해당 업종이 블루오션인지, 레드오션인지를 알아보고  경쟁업체가 생길 수 있는지, 생긴다면 방어할 수 있는지도 봐야 합니다.

 

  • 세 번째, 최근 연도의 EPS를 확인해 보기

EPS가 높긴 하지만 몇 년째 똑같은 수준이라고 하면 그 기업은 발전하지 않고 정체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습니다.

수익성 개선을 위해 지출을 줄이거나, 신규 개발 등이 있어야 하지만 몇 년째 같은 수준이라면 발전 가능성이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EPS가 낮은 기업이라고 모두 투자가치가 없는 것이 아닙니다.

최근 주식시장을 가장 뜨겁게 달 구웠던 2차 전지 대장주라고 불리는 에코프로를 예로 들어 보겠습니다.

에코프로의 연도 별 EPS는 아래와 같습니다.

연도 2020 2021 2022 2023(추정)
EPS 1,040 11,001 1,387 17,756
연말 주가 33,743 117,500 103,000 -

2023년은 아직 결산을 하지 않아 추정치로 들어가 있는데, 작년 에코프로의 주당순이익은 1,387원으로 매우 낮은 수준이었습니다.

하지만 올해 4월 28일 최대치인 730,000원까지 주가가 올라가는 파워를 보여주었습니다.

이처럼 낮다고 무조건 안 좋은 기업이라고 볼 수 없고, 위에 말씀드린 것들을 빠져보고 투자를 결정해야 됩니다.

EPS만 보고 투자할 경우 손실을 볼 수도 있기 때문이 재무제표의 여러 가지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주당순이익이 좋다는 것은 내가 매수한 종목이 어느 정도의 순이익이 있는지를 알아보는 것은 좋습니다.

하지만 해당 기업 전체를 평가할 수 있는 지표는 아니기 때문에 EPS란 무엇인지 정도만 알고 있으면 좋을 것 같습니다.

반응형
♥공감 버튼은 블로그에 힘이 됩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