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세 컨텐츠

본문 제목

pbr 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주식하기

꼭 필요한 경제소식

by 달콤키위 2023. 2. 1. 10:00

본문

반응형
pbr이란 무엇인지 알아보고 주식하기

주식을 하다 보면 어려운 용어들이 종종 나오고 있어서 무슨 뜻인지 모르는 경우가 있습니다.
오늘은 그중 하나인 pbr이란 무엇인지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
재무표에 나오는 수치만 잘 알아도 종목을 선택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pbr에 대해서 쉽게 설명을 하자면 주가 순자산 비율입니다.
주가를 주당 순자산가치로 나눈 시장가치 비율로써 기업의 순자산에 대해서 1주당 몇 배로 거래가 되고 있는지를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PBR이라고 표기를 하고 있으며, 영어권에서는 P/B로 쓰이고 있습니다.
또한 Price-to-Book으로 풀네임을 표시하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계산 방법은 간단합니다.
'주가 / 주당순자산(BPS)'로 계산을 하셔도 되고 '시가총액 / 순자산'으로 하게 되면 PBR이 나오게 됩니다.
회사를 평가하는 지표로 확인하고 종목을 선택하시면 좋을 것으로 판단이 됩니다.
PBR이 낮은 종목은 저평가가 되었다고 볼 수 있고 그 반대일 경우 고평가가 되어 있습니다.
회사가 보유하고 있는 총자산에 비해서 현재 주식 가격이 어느 정도의 수준인지를 비교할 수 있는 지표입니다.

PBR 지표가 1보다 작다면 장부에 나와있는 기업의 가치보다 현재의 주식 가격이 낮다는 의미입니다.
저평가가 되었다는 뜻으로 눈여겨볼 수 있는 기업 종목입니다.
하지만 무조건 적으로 낮다는 이유만으로 투자를 하는 것은 절대 금물입니다.
한 가지 지표만을 보고 종목을 구매하는 것은 위험한 행동으로 여러 가지 지표를 확인해 봐야 됩니다.

함께 살펴보면 좋은 재무 지표 중 하나는 ROE라는 지표입니다.
ROE란 자기 자본 이익률로 Return On Equity를 약자로 표기한 것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PBR에는 시가총액을 순자산으로 나눈 값과 같다고 말씀을 드렸습니다.
하지만 기업에서 자산이라고 하면 자본과 부채를 모두 합한 금액을 의미하고 있어서 부채가 높을 수도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부채비율이 100%가 넘으면 위험한 기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모든 기업이 그런 것은 아니니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ROE는 부채를 제외한 기업이 자기 자본으로 얼마를 벌어왔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ROE가 높은 기업 종목은 순수 자본으로 투자 대비 수익이 높은 기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PBR은 낮으면서 ROE가 높으면 좋은 종목이라고 판단을 할 수 있습니다.

예시로 제가 사용 중인 NH 나무 어플에서 보유하고 있는 종목에 대해서 얘기를 해보겠습니다.
첫 번째 사진은 삼성전자의 재무표입니다.
2020년도 PBR을 보시면 다른 연도의 경우 2배가 안되는데 해당 연도만 2.06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때당시 연도 종가는 81,000원이며, 최고가는 81,300원이었습니다.
전년도인 2019년 최고가가 57,300원인 것을 감안하면 엄청나게 많이 오른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하지만 2022년이 되면서 주가가 다시 5만원대로 마감을 하였습니다.
아직 2022 마감 데이터는 나오지 않아 분기 데이터로 확인해 보니 크게 떨어지며 9월에는 1.08까지 떨어졌습니다.
연초에 10만전자를 외칠 당시에는 다른 연도보다 월등히 높은 2.06이었으나, 결국 5만전자로 내려오면서 많은 사람들이 거품이 꺼졌다고 표현하였습니다.

그다음으로 알아볼 종목은 카카오입니다.
카카오의 PBR은 삼성전자보다 높게 표기되고 있으며 2020년에는 최고 5.49까지 올라갔던 것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이때부터 액면분할 이야기가 나오다가 2021년 6월경 카카오 액면분할로 173,000원까지 올라갔던 주가가 12월에 112,500원으로 마감하였습니다.
그 이후 많은 이슈가 발생하면서 작년에는 5만원대까지 떨어졌다가 현재는 6만원대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PBR을 보시면 거의 2배 정도가 오르락내리락하였습니다.
ROE도 보시면 주가가 오르고 있을 때는 마이너스부터 시작하여 낮았으나 많은 사람들이 거품이라고 생각되는 시점에는 17.10까지 올라갔습니다.

마지막으로는 에바사라고 줄여 불리는 SK바이오사이언스입니다.
이 종목은 2021년도 최고의 관심 속에서 상장을 한 종목으로 상장 당시 최고 362,000원까지 폭등을 했었습니다.
코로나19라는 이슈에서 나온 바이오주로 열기가 매우 뜨거웠습니다.
하지만 상장 이후에 지속적인 하락으로 2022년 종가는 73,500원이었습니다.
PBR도 상장한 연도에 10.86이었으나, 작년 추정 3.36으로 3배 정도 하락을 하였습니다.

재무지표에는 여러 가지 확인을 할 수 있는 숫자 데이터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 지표만 보고 투자를 하는 것은 매우 위험할 수 있으나, 지표를 보시지 않고 투자하는 것은 더욱 위험합니다.
해당 기업이 어떤 사업을 하며, 미래 먹거리가 무엇인지에 대해서도 꼼꼼하게 알아보고 주식을 하시는 것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주식 용어에 대해서 하나씩 적으면서 성장하는 블로그입니다.
많은 정보를 함께 알아보고 공유하면서 모두 부자가 될 수 있도록 공부를 열심히 합시다.

반응형
♥공감 버튼은 블로그에 힘이 됩니다.

관련글 더보기

댓글 영역